민의의 전당

축제 취소 후폭풍

浩溪 金昌旭 2020. 11. 9. 08:17

 

[밀물썰물] 축제 취소 후폭풍

 

[부산일보] 2020. 07. 23 (22)

김은영 논설위원 key66@busan.com

 

부산바다축제와 부산국제록페스티벌 취소 여파가 만만찮다.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관광객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하나, 부산시의 취소 과정에 의견 수렴이 부족했고, 관련 업계 파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결정이었다는 점에서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부산공연기술인협회는 지난 17일 밤 부산시청 광장에서 빔 라이트 30대를 동원해 SOS를 뜻하는 모스 부호를 하늘로 쏘아 올리며 시위를 펼쳤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고사 위기의 공연업계를 살리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과 방안을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엔 동의자가 늘고 있다.

 

시의회도 나섰다. 지난 20일 시의회 임시회 제5차 문화행정위원회에서는 시가 취소를 발표한 두 축제를 축소된 방식으로나마 열 수 있도록 각각 4억 원씩 예산을 새로 배정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 예산은 그다음 날 열린 제2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통과하면서 다시 일괄 삭감되고 만다. “취소된 축제를 다시 치르기에는 일정이 촉박하다”는 시 입장이 반영된 듯하지만 해당 상임위 의원들이나 지역 공연예술계 입장에선 아쉬움이 크다.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다만, 백신 개발이 빨라야 올 연말, 내년을 바라봐야 하는 처지라 코로나19는 이제 장기전일 수밖에 없다. 축제 하나에 파생되는 고용 인원이 적게는 100여 명, 많게는 1000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을 다 실업자로 만들 순 없다. “부산국제관광도시를 표방한다면서 너무나 쉬운 (취소)결정을 했다”(제대욱 시의원), “장기적 방향성에 대해 지역 문화예술인과 함께 고민해야 한다”(김태훈 시의원), “일종의 지방자치와 분권의 개념으로 (축제에)접근할 수 있다”(박민성 시의원), “문화가 산업이 되는 게 쉽지 않지만 문화 없는 관광은 존재할 수 없다”(김부민 시의원)는 지적은 틀린 게 하나도 없다.

 

시에서 주최·주관하는 축제를 개최할 것인가 말 것인가에만 매몰돼선 안 된다. 16개 구·군, 그보다 아래의 마을 단위 축제 조직까지 시만 쳐다보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축제도 부산만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부산시 축제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축제육성위원회가 설치, 운영 중이지만 지원금 배분 정도로만 활용돼 유명무실하다. 새로운 축제 형식과 방향을 고민할 태스크포스라도 좋고, 기존 축제육성위원회의 역할 재정립도 괜찮다. 부산시 관광마이스산업국-관광진흥과-축제진흥팀의 분발을 촉구한다.

 

 

'민의의 전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용어 개발·장려해야  (0) 2020.11.14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0) 2020.11.10
5분자유발언  (0) 2020.10.29
의정자문위원회  (0) 2020.10.29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0) 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