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치다

부산시의 자충수

浩溪 金昌旭 2014. 12. 4. 17:31

 

 2014. 12. 04 (3면)

 

 

오페라하우스 두고 아트센터 건립

하드웨어 열 올린 부산시의 자충수

소프트웨어 투자에 전력을

 

부산시민공원 내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국립아트센터'가 '국립' 지위를 잃어버린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사태가 이렇게까지 진척된 것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다. 국립아트센터 용도와 운영 방향, 그리고 소프트웨어에 대해 고민 없이 단지 시설만 먼저 확보하려는 부산시의 무리수와 전략부재가 빚어낸 결과물에 다름 아니다. 국립아트센터는 부산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오페라 하우스와 '기능 중복' 우려가 높아 추진 당시부터 부산문화판에서는 이 같은 우려가 없었던 게 아니다.

 

부산시는 이런 움직임을 잘 읽지 못하고 손을 놓고 있다가 결국 국립아트센터 건립이라는 목표에 사실상 허탕을 치고 말았다. 아트센터가 국립으로 확정되면 설계비, 건축비, 그리고 운영비까지 전액 국비 지원을 받는다.

 

하지만 국제아트센터로 명칭이 확정될 경우, 부산시가 건립비와 운영비를 분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건립비는 5대5 매칭으로 건립된다는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돼있지만, 향후 운영비는 현재로서 정해진 게 없다.

 

아트센터는 건립비용만 1천억 원에 이른다. 대개 공연장 운영 예산은 건축비의 약 10~15% 정도를 확보하는 범위라야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사용 용도와 소프트웨어도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운영 적자는 쉽게 예상된다. 이 모든 게 시민세금으로 충당된다.

 

이에 대해 부산시 문화관광체육국 관계자는 "현재까지 문화관광체육부로부터 통보받은 적이 없어 대책이 논의된 적이 없다. 통보를 받으면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외형을 추구하는 부산시의 보여주기 식 전시 행정과 맞닿아 있다. 각 문화시설들에 어떤 개성과 특색을 불어넣고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할지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지 않고 목표를 세워 놓고 '안 되면 되게 하라'는 전근대적인 정책이 불러온 결과였다.

 

무려 1천678억 원이 투입된 영화의 전당도 마찬가지다. 영화의 전당은 그 외형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간 활용도가 매우 저조하다. 게다가 지난해를 비롯해 연간 적자 폭이 엄청나다. 오페라하우스까지 건립되면 누적 적자를 어떻게 메울 것인지 현재로서 대책이 없다.

 

지역 문화판에서는 "대형 문화시설들은 짓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그 공간을 채울 소프트웨어와 운영비 고민도 함께 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이들은 부산시가 앞으로 국제아트센터를 국립으로 다시 만들 수 있게끔 전방위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건축비와 운영비를 놓고 정부와 치밀하게 협상을 하거나 아예 국립아트센터 계획 자체를 포기하고 오페라하우스와 통합 운용하는 다각도 정책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김창욱 음악평론가는 "부산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부산의 문화시설들에 대해 리모델링을 포함해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운용계획을 다시 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성 선임기자 pts@